이번 주 묵상 포인트 (1/29-2/4) - 마 5:33-8:13
*5:33-48에는 5:20부터 소개한 하나님 나라 삶의 방식으로서 새로운 의 가운데 나머지 세가지, 맹세 (33-37; 레 19:12), 보복(38-42; 출 21:24), 원수 사랑(43-47: 레 19:18)이 이어집니다. 맹세함으로 자신의 말의 진실 여부를 입증하려는 자기 중심의 어리석음을 멀리해야 합니다. 가해자들을 법대로 한다며 대적하기 보다, 억압하는 자들의 요구에 더 응해 주고 원수까지 사랑하며 그들을 위해 기도하라고 하시며, 비이기적인 제자도의 삶을 가르치십니다. 이것이 구약 율법에 감춰진 하나님의 본연의 뜻이며, 하나님의 온전하심을 닮아가는 모습입니다(48).
*5:20 이하에서 인간관계에서의 의를 다루었다면, 6:1-18에서는 하나님과의 관계로 옮겨갑니다. 예수님은 종교인들의 관행적인 세 가지 의무인 자선, 기도와 금식을 다루는데, 6:1은 2-18의 서론적 요약입니다. 위선적이며 과시하는 종교 행위를 피하고, 은밀한 구제(2-3), 은밀한 기도(5-7)와 은밀한 금식(16-17. 참고 사 58:6-7)으로 하나님의 보상을 믿고(4, 8, 18) 임해야 합니다. 9-13은 하나님 나라의 임재를 향한 하늘 아버지의 영광과 제자 공동체의 일상을 위한 기도의 모범을 가르치시고, 14-15은 용서받기 위해 먼저 용서하라시며 주 기도문의 후반부를(12-13) 강화합니다.
*6:19-34는 앞선 일용할 양식을 위한 요청과 연결되는데, 예수님은 하나님을 신뢰함으로써 염려에서 해방된 하나님 나라 중심의 일상을 살라고 하십니다. 6:19-24 소유가 있는 곳에 마음이 있기에, 이 땅에 쌓아둠으로써 눈이 흐려져 그 마음에(22-23) 하나님과 재물(맘몬)이라는 두 주인을 섬기게 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. 25-34 세상 사람들과는 달리 재물에 영향받는 생활의 염려를 내려 놓고, 하나님 나라와 그의 의를 먼저 구할 것을 거듭 말씀하십니다. 우리들에게 가장 취약한 부분입니다.
*7:1-12 상호 정죄를 삼가하되 건전한 판단력을 가지고(1-6), 하나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는(6:33) 기도 응답에 인내해야 합니다(7-11). 대접받고 싶은 대로 이웃을 대하는 것이 관계의 황금률입니다(12). 7:13-27 멸망의 넓은 문이 아닌 생명의 좁은 문으로 들어가야 합니다(13-14). 참 제자도와 거짓 제자도는 말이 아니라 삶의 열매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(15-23). 말씀을 듣고 순종으로 실행함이(이 단어가 모두 아홉 번 나온다) 모래 위가 아니라 단단한 바위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(24-27). 7장은 예수님의 권위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으로 끝맺습니다(28-29).
*5:20부터 48절까지 예수님은 의롭다고 존경받던 종교인들의 옛 것이 아닌, 이미 임한 하나님의 나라 삶의 방식으로서 새로운 의를 ‘너희가 들었으나’ ‘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’의 형식으로 여섯 가지 예를 소개하십니다. 먼저, 살인(분노와 화해 21-26), 간음(음욕 27-30), 이혼(아내 버림 31-32)을 하나님 나라의 법정을 염두에 두고 다루십니다. 이번 주도 매일성경을 따라 묵상하면서, 예수님께서 오신 이유, 성취해가시는 일들의 의미를 곱씹으며 우리들의 일상을 걸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.